[스크랩] 자원회수시설이란?
혹시 주변에서 굴뚝을 보신적이 있으십니까? 아마 보았어도 무심코 지나치셨을 것입니다. 저 역시 노원구에서 생활하면서 무심코 지나가며 보았던 그 굴뚝이 이제서야 자원회수시설의 굴뚝이라는 것을 알았습니다.
자원회수시설이란 말조차 처음 들으시는 분이 있을 것 같습니다.
소각장이라는 말은 들어보셨지요? 자원회수시설은 단순히 쓰레기를 태워서 감량하는 소각장과 달리 생활폐기물을 위생적으로 소각 처리하고 소각열을 회수하여 자원화하는 시설입니다.
자원회수시설이란?
일상생활에서 발생되는 쓰레기를 그동안 매립해왔으나 매립장의 고갈 및 매립지에서의 2차 환경오염등이 문제점으로 대두되었습니다.
그래서 매립하기 전 단계에서 소각처리(중간처리)함으로써 매립지의 수명을 연장하고, 폐기물을 소각 처리하여 여기서 발생되는 폐열을 회수, 지역난방을 통해 각 가정에 온수를 공급하거나 스팀터빈을 통해 전력을 생산는 시설, 쓰레기에서 자원을 회수한다는 의미에서 자원회수시설이 생겼습니다.
자원회수시설의 오명물질은 쓰레기 반입, 쓰레기 소각, 폐열보일러, 열공급, 대기오염 방지시설 등 여러 공정을 거쳐 법정기준보다 훨씬 낮은 농도로 굴뚝을 통하여 배출되고 있으며, 배출되는 오염물질의 상태를 환경부에서 굴뚝자동측정시스템(TMS)을 통하여 24시간 실시간대로 상시 감시하고 있으며, 전광판 및 자원회수시설 홈페이지를 통하여 공개하고 있습니다.
[소각처리과정-구리자원회수시설의 경우]
파이 서비스가 종료되어
더이상 콘텐츠를 노출 할 수 없습니다.
1. 쓰레기 반입
수집된 쓰레기는 쓰레기 계량대에서 자동적으로 계량된후 반입장으로 이동하여 쓰레기벙커에 투입됩니다.
2. 재활용선별실
수집된 쓰레기중 재활용이 가능한 플라스틱,캔,병 등은 선별실에서 자동으로 분리되어 재활용 시설에 보내집니다.
3. 쓰레기 벙커
저장된 쓰레기는 크레인으로 혼합하여 소각로 투입호퍼를 통하여 소각로 내부로 이동,공급됩니다.
4. 고효율소각로
스토카 소각로에는 역송식,계단식,로울러식등이 있으나 본 시설에 설치된 소각로는 역송식 스토카로서 화격자의 역송 운동에 의해 건조,연소,후연소가 하나의 화격자 위에서 이루어지므로 높은 연소효율로 인해 유해물질 발생을 최대한 억제합니다.
5. 폐열회수 보일러
연소가스 냉각과 에너지의 효율적인 이용을 위해 보일러에서 열을 회수하여 증기를 만듭니다.
6. 절탄기
폐열회수 보일러의 부속설비로서 소각시 발생할 폐열을 회수합니다.
7. 반건식 알칼리 흡수탑
연소가스 속에 소석회 수용액을 분사하여 염화수소(HCl)와 황산화물(SOx)을 99%이상 제거할 수 있는 최첨단 시설로 산성 유해가스를 완벽하게 제거합니다.
8. 백필터
밀폐된 4각 상자함에 여과포를 설치하여 분진을 함유한 가스가 여과포를 통과함으로써 먼지와 가스가 분리되어 청정 가스만 대기증으로 방출케 하는 설비로 특히 다이옥신 제거에 효과적이며 각종 공해물질을 99%까지 제거 할 수 있습니다.
9. 촉매 탈질설비(SCR)
연소 배기가스중에 암모니아를 분사시켜 질소산화물(NOx)과 암모니아가 혼합된 배기가스를 촉매재에 접촉하게 하여 질소산화물을 무해한 질소화물로 분해 제거합니다.
대기오염 방지시설(7,8,9시설)은 자원회수시설별로 약간씩은 다릅니다.
전기집진장치, 습식세정장치, 반건식반응탑, 백필터, 촉매탑(SCR: 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등 각 자원회수시설마다 조금씩 설비가 다릅니다.
10. 중앙제어실
쓰레기의 투입,연소부터 소각, 배기가스 처리에 이르는 모든 공정을 최첨단 컴퓨터시스템(DCS)으로 감시, 운전함으로서 완벽하고 안전한 소각장의 운전을 도모합니다.
11. 굴뚝자동측정시스템
굴뚝자동측정시스템(Clean SYS, Tele-Monitoring System)은 자원회수시설 등 사업장에서 배출하는 대기, 환경오염물질 배출상태를 자동측정기로 상시 측정하고 이를 환경관리공단 관제센터의 주컴퓨터와 온라인으로 연결하여 오염물질 배출상황을 24시간 상시 감시하는 시스템입니다.
굴뚝자동측정시스템은 사업장의 굴뚝에 설치된 각 측정기를 통하여 먼지(Dust), 황산화물(SOx), 염화수소(HCl), 질소산화물(NOx),일산화탄소(CO), 산소(O2), 유량, 온도 등의 자료 항목을 측정, 수집하여 환경관리공단 각 지역권 관제센터에 실시간 무선전송하고 있습니다.
또한, 굴뚝자동측정시스템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주민들이 직접 확인할 수 있도록 시설입구에 설치된 전광판을 통하여 배출가스 수치를 표출하고 있습니다.
자원회수시설은 10명이상 일주일전까지 미리 예약을 하면 견학 신청이 가능 합니니다. 살고 있는 지역에 있는 자원회수시설을 검색하셔서 예약후 견학하시면 다시 한번 쓰레기 분리수거의 중요성과 자원의 소중함을 느끼실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 전국 자원회수시설(소각시설) 운영현황(2008년 기준) ★ | |||||
지역 | 시설명 | 용량(톤/일) | 년간 소각량(톤/년) | 평균 소각량(톤/일) | 가동율(%) |
총계(45개소) | 12,516 | 2,919,441 | 9,598 | 77 | |
서울(4) | 노원 | 800 | 98,650 | 329 | 41 |
양천 | 400 | 84,800 | 283 | 71 | |
강남 | 900 | 128,558 | 429 | 48 | |
마포 | 750 | 157,310 | 499 | 67 | |
부산(3) | 다대 | 200 | 44,663 | 149 | 74 |
해운대 | 400 | 113,033 | 377 | 94 | |
명지 | 400 | 102,672 | 342 | 86 | |
대구(1) | 성서 | 600 | 130,361 | 435 | 72 |
인천(2) | 청라 | 500 | 130,282 | 434 | 87 |
송도 | 500 | 150,680 | 478 | 96 | |
대전(2) | 대덕1 | 200 | 51,161 | 171 | 85 |
대덕2 | 200 | 56,154 | 178 | 89 | |
광주(1) | 상무 | 400 | 88,666 | 296 | 74 |
울산(1) | 성암 | 400 | 115,140 | 384 | 96 |
경기(16) | 수원 | 600 | 165,077 | 550 | 92 |
성남 | 600 | 141,936 | 473 | 79 | |
부천삼정 | 200 | 36,897 | 123 | 61 | |
부천대장 | 300 | 67,690 | 226 | 75 | |
안양 | 200 | 47,138 | 157 | 79 | |
안산 | 200 | 53,617 | 179 | 89 | |
용인 금어리 | 300 | 65,285 | 211 | 70 | |
용인 수지 | 70 | 21,746 | 72 | 104 | |
광명 | 300 | 82,308 | 274 | 91 | |
군포 | 200 | 30,681 | 102 | 51 | |
과천 | 80 | 21,557 | 72 | 90 | |
고양일산 | 300 | 69,744 | 222 | 74 | |
의정부 | 200 | 50,492 | 168 | 84 | |
구리 | 200 | 43,781 | 139 | 69 | |
파주 | 200 | 32,282 | 108 | 54 | |
안성 | 50 | 13,502 | 43 | 86 | |
충남(4) | 천안 | 200 | 56,678 | 189 | 94 |
논산 | 50 | 16,332 | 52 | 104 | |
공주 | 50 | 16,116 | 50 | 101 | |
보령 | 50 | 18,707 | 54 | 108 | |
전북(1) | 전주 | 400 | 101,113 | 337 | 84 |
경북(2) | 상주 | 48 | 13,042 | 43 | 91 |
김천 | 48 | 16,650 | 50 | 104 | |
경남(5) | 창원 | 400 | 121,833 | 382 | 95 |
통영 | 50 | 14,889 | 46 | 92 | |
김해 | 200 | 53,371 | 178 | 89 | |
밀양 | 50 | 14,819 | 49 | 98 | |
진해 | 50 | 14,746 | 47 | 94 | |
제주(2) | 북부 | 200 | 45,789 | 153 | 76 |
남부 | 70 | 19,463 | 65 | 93 | |
※서울시를 제외한 타 시 · 도의 자료는 환경부 작성 자료임 |
[ 환경블로그 기자단 김지혜 ]